1. 권장사양 - 쿼드코어이상, 64비트 윈도우, 램 8GB 이상인 컴퓨터에서 모모에 CPU코어2~3개이상, 램2~4GB이상 할당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멀티로 여러개 돌리는 경우 직접 안정적인 수준을 찾아서 최적화하세요.
2. 해상도 및 DPI 설정 - 해상도는 전체화면을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모니터의 최적해상도로 설정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DPI값은 안드로이드OS의 글자나 UI등의 시인성을 결정하기 위한 수치이므로 글자나 버튼이 너무 작거나 크지만 않도록 적당히 넣으면 됩니다.
3. BIOS에서 가상화 기술 항목의 이름? - CPU 및 메인보드에 따라서 표시되는 이름이 천차만별입니다. 인텔의 경우 VT, Virtualization Technology, VT-x, 가상화 등과 같은 이름을 가집니다. AMD의 경우 AMD-V, SVM 등과 같은 이름을 가집니다.
보급형 CPU에서는 VT기능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있으므로 VT 지원여부를 확인해주는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알아보세요.
4. AVG, Avast 등 백신의 가상화 기능이 문제될 수 있습니다. - CPU 종류에 따라서 중대한 성능 문제를 초래합니다. 백신의 "설정 - 문제해결 - 하드웨어 지원 가상화 사용 기능"을 비활성화하고 재부팅하세요.
5. Oracle VirtualBox가 따로 설치되어 있습니까? - 모모가 내장 버추얼박스를 사용하지 않고, 시스템에 따로 설치된 버추얼박스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예외적인 동작을 하거나 최적화되지 않은 성능을 보일 수 있습니다. 과거에 앱플레이어를 사용하다가 문제가 생겨 누군가의 팁에 의해서 설치했던 경우가 많습니다. 직접 사용하지 않는다면 삭제하세요.
6. 윈도우 Hyper-V 기능은 충돌할 수 있습니다. - 모모가 충돌할 수 있습니다. 사용하지 않는다면 비활성화하세요. "제어판 - 프로그램 및 기능 - Windows 기능 켜기/끄기"에서 비활성화하고 재부팅하세요.
"Windows 기능 켜기/끄기"에 Hyper-V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Win+R 눌러서 실행 창을 띄우고 services.msc 입력 후 엔터를 눌러 서비스를 띄우고, 이름이 Hyper-V로 시작하는 서비스들의 "상태"가 "실행 중"인지 확인하세요.
만약 "실행 중"이라면 모든 Hyper-V관련 서비스를 "우클릭 > 속성 > 시작유형 = 사용안함"으로 처리하고 재부팅하세요.
7. 최신 3D 모바일 게임의 그래픽 기능들이 활성화되지 않습니다. 또는 실행조차 불가능하거나 플레이스토어에 기기미지원이라고 나옵니다. - 그러한 게임들은 OpenGLES 3.0 또는 3.1의 기능을 활용하거나 필수로 요구합니다. 너무 오래된 그래픽 카드는 OpenGLES 3.0 함수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OpenGLES 3.1을 지원하는 그래픽카드는 등장한지 몇년 되지 않았습니다.
OpenGLES와 OpenGL은 다릅니다. "아마도" OpenGL 4.2~4.3정도를 지원하는 데스크탑 그래픽 카드 정도라면 OpenGLES 3.0을 "아마도" 지원할 것입니다.
OpenGL 버전은 앱플의 진단정보에 표시되는데 버전이 4.4정도(?) 넘으면 아마 안전빵이 아닐까 합니다.
OpenGL ES 버전은 진단정보에 표시되지 않습니다. 대신에 앱플 내부의 "설정 > 태블릿 정보 > OpenGL driver version"에 표시됩니다. 대부분의 폰겜을 무리없이 하려면 ES 3.0버전 이상이어야 합니다. 버전은 정확히는 잘 모르겠으나, 기기 지원요건에 이러한 요건이 반영된다는 걸 알아두시면 좋겠습니다.
이쪽 문제는 그래픽드라이버를 업데이트하면 해결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혹시 버전업을 통해서 해결해줄 수도 있으므로 문의게시판에 진단정보를 복붙해서 문제의 게임과 그래픽카드 기종을 남겨두면 나중에 어떻게든 돌아가게 해줄지도 모릅니다.
8. 3D 게임이 잘 실행되지 않습니다. 혹은 하다가 멈춥니다. - 모모는 직접 할당한 CPU와 RAM 뿐만이 아니라, 그래픽카드의 VRAM도 매우 적극적으로 사용합니다. VRAM이 낮은경우엔 오동작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게임을 무난하게 구동하려면 VRAM이 최소한 1GB 이상인 그래픽카드의 사용을 권장합니다. 윈도우를 쓰면서 쓰려면 2GB권장...
또는 그래픽드라이버를 업데이트하면 해결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9. 그래픽가속 방식에 DirectX나 OpenGL같은 선택지가 없는데? - 이 부분은 걱정할 필요도 고려할 필요도 없다고 적혀있더군요.
아마도 위 7번 OpenGLES 버전 이야기의 연장선 같은데, 그래픽카드를 보고 판단해서 완벽히 자동으로 구분해서 처리해주려고 하는게 아닐까 생각합니다. 자동으로 구분해주지 못하는 경우를 예로 들자면 OpenGLES 3.0 기능을 호출했는데, 그래픽카드 쪽에서 함수를 직접지원해주지 않는 경우엔, 해당 함수를 에뮬레이션하는 모드로 사용해야 될 것 같거든요. 에뮬레이션 모드가 기존의 OpenGL모드이고, 에뮬레이션을 거치지 않고 직접 호출하는 경우가 DirectX인 것 같은데, 아무래도 모모는 그래픽카드가 OpenGLES 기능을 어디까지 지원하는지 다 구분해서 자동으로 적용하는게 아닐까 합니다.
10. 내장+외장 듀얼그래픽을 사용합니다. - 외장만 활성화하세요. 전원옵션을 고성능으로 설정하세요. 또는 dnplayer.exe 및 ldboxheadless.exe 파일에만 고성능GPU를 할당하고 사용하세요.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모모 앱플레이어 다운로드 바로가기 | admin | 2019.02.10 | 53834 |
5 | 94% 에서 진행안되는 에러 해결 방법 | 나름팁 | 2019.01.17 | 3386 |
4 | 배그 한국버전 쉬운 키맵핑 하기 | 배그그그 | 2019.01.17 | 257 |
3 | 모모앱플레이어 키 녹화매크로 손쉽게 만들고 수정하면서 사용하는법 | 겜매냐 | 2019.01.17 | 10880 |
2 | 모모 앱플레이어 관련 자주하는 질문과 답변 모음 및 팁, 문제해결법 2탄 | 모모러브 | 2019.01.17 | 7673 |
» | 모모 앱플레이어 관련 자주하는 질문과 답변 모음 및 팁, 문제해결법 1탄 | 모모러브 | 2019.01.17 | 540 |